휠라(FILA)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사람, 환경, 사회를 위한 가치 경영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휠라는 ESG 중장기 전략인
‘YOUR FILA IMPACT 2025’를 통해
이해관계자와 상생하며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해나가겠습니다.
윤근창
주식회사 휠라홀딩스 대표이사
휠라의 4대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추진하며 지속가능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핵심가치
휠라의 4대 핵심가치는
당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추진하고
글로벌 스포츠 패션 시장을
선도하는
주요 동력입니다.
조화(Harmony)
존중과 소통을 통해
전체 관점의 발전을 도모
혁신(Innovation)
창조적으로 새로운 것을
과감히 시도
자긍심(Pride)
회사, 제품, 동료에
대한 자부심
열정(Passion)
어려움에 봉착해도
긍정적으로 끈기 있게
시도
비전
WINNING TOGETHER
Environment
휠라는 자원 순환과 기후변화 대응 체계 구축으로 친환경 패션 산업에 기여하겠습니다.
제품 선순환(Product Circularity)
휠라의 순환적 가치사슬을 고려한
제품 순환 체계
(친환경 소재,
유해물질 관리, 제품 생산,
포장재 전환, 폐기물 감축)
구축
지속가능 소재 R&D 진행 및
Sustainable Materials
Tracking Board
체계화
유기농 섬유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
인증 획득
지속가능 의류, 용품,
언더웨어 제품 2021년 최초 런칭
지속가능 신발 제품 2020년 대비
2021년 생산량 9배 증가
협력사 대상 유해물질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및
정기 화학안전
검사 진행
협력사 대상
ZERO WASTE
프로그램
지원 확대
기후변화 대응(Climate Action)
휠라 그룹 주요 법인
기후변화 관리 시스템
체계화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지지 선언 및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정보 공시
주요 법인 사무실 및
사업장 용수 사용 및
폐수 발생
정보
취합 및 분석
한국 물류센터 100%
페이퍼리스(Paperless)
전환 통해
약 2.4 톤
탄소배출 저감
한국·미국 물류센터 내
100% 전기 운송수단 사용
Governance
휠라는 모든 임직원 및 파트너사와 투명하게 소통하며 지속가능한 윤리경영을 위해 함께 나아가겠습니다.
책임경영 구축(Business Commitment)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수립 및 공시
정기 이사회 ESG
리스크 및
기회 안건
상정 및 논의
글로벌 제보채널
100% 대응
정보보호위원회 설립 및
정보보안침해사고
대응체계 마련
최근 3개년
온라인 정보보안 침해
0건
전체 휠라코리아 직원
윤리경영 교육
이수
휠라의 순환적 가치사슬
휠라는 사업의 전 과정에서 순환적 사이클(Circular cycle)을 구현하고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소재 선정에서부터 생산, 유통, 판매, 마케팅, 나아가 폐기 및 재활용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의 모든 단계에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휠라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휠라는 중장기 지속가능 목표인 ‘YOUR FILA IMPACT 2025’를 통해 ESG 경영전략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미래의 가능성을 확장하고자 합니다. ‘YOUR FILA IMPACT 2025’를 달성하는 과정이 환경, 임직원, 고객, 공급망,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가치를 위한 성장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휠라홀딩스는 그룹 지주회사로서 휠라 계열사들이 ‘WINNING TOGETHER’라는 비전 아래 계열회사들이 지속가능 목표를 달성하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제품 선순환
(Product Circularity)
휠라는 지구 환경과 다음 세대를 위한 친환경 소재와
자원순환 구조를 도입하여 제품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환경영향 최소화를 추구합니다.
2025 목표 | 2021 성과 | 해당 법인 |
제품 선순환(Product Circularity) | ||
제품 선순환(Product Circularity) 실현을 위한 전 과정 평가 (Life Cycle Assessment) 기반 구축 |
휠라 가치사슬을 고려한 제품 순환 체계(친환경 소재, 유해물질 관리, 제품 생산, 포장재 전환, 폐기물 감축) 구축 |
|
제품 부문별 지속가능 소재 활용비중 확대 | 지속가능 소재 R&D 진행 및 Sustainable Materials Tracking Board 체계화 |
|
유기농 섬유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 인증 획득 |
|
|
책임 있는 다운 기준 RDS(Responsible Down Standard) 인증 및 유기농 원료 OCS(Organic Content Standard) 인증 의류 제품 적용 |
|
|
생분해가능 100% 재활용 종이, 폐고무 분쇄 소재, 폐코르크 재활용 시트, 재활용 합성 가죽, 재활용 폴리에스터(Recycled Polyester), 재활용 파일론(Recycled Phylon), 타이벡(Tyvek) 소재 신발 제품 적용 |
|
|
소로나(Sorona), 쏠라볼(SOLARball), 재활용 폴라텍(Recycled POLARTEC), 재활용 폴리에스터(Recycled Polyester), 재활용 나일론(Recycled Nylon) 소재 의류 제품 적용 |
|
|
마이판 리젠(MIPAN regen), 비건 레더 비제아(VEGEA), 폐가죽 재활용 소재 용품 제품 적용 |
|
|
에코론(ECOLON) 및 텐셀(Tencel) 소재 언더웨어 제품 적용 |
|
|
신발 및 의류·용품 지속가능 제품 라인 10% 이상 달성 |
지속가능 의류, 용품, 언더웨어 제품 2021년 최초 런칭 |
|
지속가능 신발 제품 2020년 대비 2021년 생산량 9배 증가 |
|
|
의류 제품 2021년 전체 생산량 대비 지속가능 성인 의류제품 16.9%, 키즈 의류제품 10.9% 달성 |
|
|
용품 제품 2021년 전체 생산량 대비 지속가능 용품 제품 1.7% |
|
|
언더웨어 제품 2021년 전체 생산량 대비 지속가능 언더웨어 제품 1.7% |
|
|
소재 및 제품 내 유해 화학물질 ZERO | 의류 제품 친환경 염색공법 드라이다이(Drydye) 적용 검토 |
|
신발 제품 2021년 수성 접착제 사용량 2020년 대비 2.5배 증가 |
|
|
협력사 대상 유해물질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및 정기 화학안전 검사 진행 |
|
|
포장재 및 부자재 친환경 전환 | 신발 박스 100% 재활용 소재 활용 전년대비 1.5배 증가 및 의류·용품 제품 생분해가능 비닐봉투 적용 |
|
라벨, 태그 등 제품 부자재 생산 시 재활용 가능 종이 활용 및 친환경 인쇄방식 통해 종이 사용량 50% 감축 |
|
|
자원순환 지향적 폐기물 저감 체계 확대 | 폐기물 관리체계 주요 법인 확대 및 협력사 통합 검토 |
|
협력사 대상 ZERO WASTE 프로그램 지원 확대 |
|
기후변화 대응
(Climate Action)
글로벌 차원의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 휠라는
주요 법인 및 협력사와
공통된 방향성을 공유하여
2020년 구축한 환경경영체계
실행에 함께 기여합니다.
2025 목표 | 2021 성과 | 해당 법인 |
기후변화 대응(Climate Action) | ||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 및 중장기 탄소저감 목표 설정 |
기후변화로 인한 Risk & Action 도출 및 환경경영 대응 기반 마련 |
|
휠라 그룹 주요 법인 기후변화 관리 시스템 체계화 |
|
|
TCFD 및 CDP 지지 및 정보 공시 |
|
|
탄소배출량 공시 범위 글로벌 법인 확대(2→5개 법인) |
|
|
Greenhouse Gas Protocol 적용 통한 방법론 개선 및 탄소 집약도 추가 공시 |
|
|
직접운영 법인 및 사업장 탄소저감 | 한국 물류센터 100% 페이퍼리스 전환 통해 약 2.4톤 탄소배출 저감 |
|
한국·미국 물류센터 내 포장재 폐기물 전량 약 543톤 재활용 |
|
|
한국·미국 물류센터 내 100% 전기 운송수단 사용 |
|
|
임직원 대상 실천가능 탄소저감 활동 교육 진행 |
|
|
전략적 물 관리 대응체계 마련 | 주요 법인 사무실 및 사업장 용수사용 및 폐수 발생 정보 취합 및 분석 |
|
이해관계자 포용
(Caring for People)
휠라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통해
임직원, 고객 및 지역사회의
건강한 미래를 지키고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고자 합니다.
2025 목표 | 2021 성과 | 해당 법인 |
이해관계자 포용(Caring for People) | ||
글로벌 인재 경영 중심의 지원 확대 | 임직원 대상 리더십, 직무역량, 자기계발, ESG 교육, 개인별 코칭 등 인재개발 프로그램 진행 |
|
비대면 업무 환경 조성 및 수평적 조직 문화 확산 |
|
|
여성 임직원 근로 환경 개선 및 모성보호 복리후생 지원 |
|
|
인권 관련 이슈 예방 및 100% 대응 | 전 직원 대상 인권침해 예방 교육 및 사내 캠페인 실시 |
|
다양성 및 포용성 위원회(Diversity, Equity, Inclusion, & Community Council) 결성 및 워크숍 실시 |
|
|
안전보건 관련 이슈 발생 ZERO | 중대 산업재해 발생 0건 |
|
정기 안건보건교육 실시 및 체크리스트 기반 사업장 안전보건 모니터링 |
|
|
소비자와의 소통 강화 | 소비자 문의채널 대응률 97.7% 및 리콜 프로세스 100% 이행 |
|
휠라 글로벌 CSR 전략 이행을 통한 임팩트 창출 |
휠라 글로벌 주요 CSR 테마 선정(물, 다양성, 어린이) 및 체계 보강 |
|
전체 매출대비 0.7%, 영업이익대비 3.4% 사회 환원(전년 대비 각 6.9배, 4.6배 증가) |
|
|
흑인 역사의 달(Month of Black History) 컬렉션 판매 수익의 10% 기부 |
|
|
휠라 키즈 안전교실 실시(2009년 최초 실시 이래 총 누적 55,000여 명 어린이 대상 교육 제공) |
|
공급망 투명성 확보
(Supply Chain Transparency)
휠라는 협력사와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공급망의 ESG관리 수준을 높여
지속가능한 패션산업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025 목표 | 2021 성과 | 해당 법인 |
공급망 투명성 확보(Supply Chain Transparency) | ||
휠라 그룹 공급망 지속가능경영 원칙 이행 | 휠라 그룹 글로벌 행동강령 및 인권선언문 제정 및 협력사 대상 배포 |
|
공급망 투명성 제고 및 전체 협력사 맵핑 완료 | 신발, 의류·용품 1차 협력사 맵핑 완료(휠라 스포트(홍콩): 22개 사, 몬테벨루나: 22개 사) |
|
휠라 그룹 공급망 지속가능성 기준 100% 이행 |
신규 협력사 선정 시 휠라 그룹 ESG 기준 충족 여부 의무화 |
|
1차 전체 핵심 협력사 ESG 평가실시 및 고위험군 개선 과제 수립 |
|
|
협력사 상생 지원 | COVID-19 상황으로 인한 협력사 물류비용 지원 |
|
우수 협력사 대상 대금 지급 기간 단축 |
|
책임경영 구축
(Business Commitment)
휠라는 전문성과
다양성을 갖춘 지배구조를
지향하며, 글로벌 법인 및
협력사와 함께
윤리경영 실천을 위해
노력합니다.
2025 목표 | 2021 성과 | 해당 법인 |
책임경영 구축(Business Commitment) | ||
휠라 5개년 전략 및 주주환원정책 실행 |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수립 및 공시 |
|
이사회 주도 지속가능경영 및 기후변화 위기 대응 | 정기 이사회 ESG 리스크 및 기회 안건 상정 및 논의 |
|
휠라 그룹 글로벌 윤리 제보 100% 조치 | 글로벌 제보채널 100% 대응 |
|
개인정보 유출사고 ZERO | 정보보호위원회 설립 및 정보보안침해사고 대응체계 마련 |
|
최근 3 개년 휠라의 온라인 정보보안 침해 0건 |
|
|
직원 참여형 기업 윤리문화 확산 | 전체 휠라코리아 직원 윤리경영 이수 |
|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환경 영향 최소화
휠라 자원순환 체계
친환경 소재와 공정 연구개발
원자재 | |
생분해가능 | 폐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메탄가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것 |
재활용 & 업사이클링 | 기존의 가치를 넘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조한 제품으로 재탄생 |
친환경 | 천연자원을 활용한 제품 생산 |
공정 |
‧기존 자재 100%를 살리며 재활용 가능한 소재 개발 ‧몰드 성형방식 개선을 통한 공정 간소화 ‧자재 파편 및 폐기물 활용 가능 용법 개발 |
유해물질 관리
신발 제품 갑피 부분 생산 시 사용되는 유성접착제 친환경 수성접착제로 전환
(수성접착제 사용 신발 제품 2021년 59만 8천 족, 2020년 대비 2.5배 증가)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스티렌(Styrene) 등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환경 부하 저감
휠라코리아 지속가능제품 생산량 확대
휠라코리아 제품 연간 생산량 기준
각 부문별 지속가능 제품 최초 런칭 시점이 상이함. 신발의 경우 2020년부터 관련 제품 출시로 전년 대비 비교가 가능하나, 의류, 언더웨어, 용품은 2021년 최초 런칭
휠라 미국법인 지속가능 부자재 확대 계획
폐기물 관리 시스템
협력사 JM(Jialaimeng)의 2021년 성과
휠라 주요법인 온실가스 배출량
휠라는 2021년 7월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2022년 3월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법인명 | 범위 | 단위 | 2021 | 2020 | 2019 |
휠라 그룹 | 직접배출(Scope 1) | tCO2e | 1,245.9 | 1,796.2 | 1,771.0 |
간접배출(Scope 2) | tCO2e | 3,005.5 | 2,831.4 | 3,020.7 | |
총계 | tCO2e | 4,251.3 | 4,627.7 | 4,791.7 | |
집약도 | tCO2e/십억원 | 1.1 | 1.2 | 1.3 | |
법인별 배출량 | |||||
휠라홀딩스 | 직접배출(Scope 1) | tCO2e | 7.5 | 7.1 | N/A |
간접배출(Scope 2) | tCO2e | 130.8 | 61.7 | N/A | |
소계 | tCO2e | 138.3 | 68.9 | N/A | |
휠라코리아 | 직접배출(Scope 1) | tCO2e | 9.1 | 13.3 | 60.9 |
간접배출(Scope 2) | tCO2e | 1,267.6 | 1,123.8 | 992.0 | |
소계 | tCO2e | 1,276.7 | 1,137.1 | 1,052.9 | |
휠라 미국 | 직접배출(Scope 1) | tCO2e | 1,159.8 | 1,775.8 | 1,710.1 |
간접배출(Scope 2) | tCO2e | 1,571.1 | 1,645.9 | 2,028.7 | |
소계 | tCO2e | 2,730.9 | 3,421.7 | 3,738.8 | |
휠라 스포트(홍콩)ㆍ 몬테벨루나 |
직접배출(Scope 1) | tCO2e | 69.4 | N/A | N/A |
간접배출(Scope 2) | tCO2e | 36.0 | N/A | N/A | |
소계 | tCO2e | 105.4 | N/A | N/A |
휠라 그룹으로 공시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집약도는 동 보고서 상 주요 공시법인인 휠라홀딩스 및 휠라코리아, 휠라 미국, 휠라 스포트(홍콩), 몬테벨루나의 배출량을 합산한 값임
2020년 1월 휠라코리아와 휠라홀딩스의 물적분할로 인해 휠라홀딩스의 데이터는 2020년부터 존재함 (이하 모든 데이터 동일)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시 온실가스규약(Green House Gas Protocol)방법론을 따르며, 대한민국 소재 사무실 및 사업장의 전력량 계산에 한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기준을 따름
작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범위 확대에 따라 최근 3개년에 대해 범위 및 기준을 소급적용하여 재산정하였음. 따라서 2019년, 2020년 배출량이 작년도 공시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
온실가스 집약도는 휠라홀딩스 연결재무제표 매출액 기준으로 산출함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범위:
휠라홀딩스: 한국 서울 사무실, 한국 부산 패스트센터 사무실
휠라코리아: 한국 서울 사무실, 한국 이천 물류센터
휠라홀딩스와 휠라코리아는 2019년 7월 서울 천호동 사무실로 이전하였으며, 두 법인은 동일한 건물에 소재하므로 면적에 비례해 데이터를 산출하였음 (이하 에너지, 수자원, 폐기물 데이터 동일)
스팍스글렌코, 매그너스홀딩스 및 몬테벨루나 한국 지사는 동일한 건물에 소재하나 본 보고서의 주요 보고대상법인이 아니므로 해당 법인들의 데이터는 별도 공시하지 않음
(이하 에너지, 수자원, 폐기물 데이터 동일)
휠라 미국: 미국 뉴욕 사무실, 미국 메릴랜드 사무실, 미국 볼티모어 물류센터
휠라 스포트(홍콩)ㆍ몬테벨루나: 중국 진장 글로벌 소싱센터
휠라 스포트(홍콩)과 몬테벨루나 두 법인은 모두 중국 진장 글로벌 소싱센터에 소재하며, 건물 내 사무실, 휴게공간, 편의시설 등을 공유하므로 통합 공시함 (이하 에너지, 수자원, 폐기물 데이터 동일)
휠라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 제고
휠라 인재상
조화
상호 존중을 기반으로 한
협력을 통해 전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사람
혁신
새로운 발상과
과감한 도전을
즐길 줄 아는 사람
자긍심
자기 일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회사를 사랑하는 사람
열정
어려운 일에도
끈기 있게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사람
우수인재 지원과 양성
당사는 새로운 발상과 자긍심으로 전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임직원 교육
휠라는 구성원들이 꾸준히 자기계발을 하며
커리어를 발전시켜 나갈 때 우수한 업무 성과가
발현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전보건법의 철저한 준수와 관리
휠라는 이해당사자들이 안전보건
증진 및 재해 발생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
휠라는 자유롭게 개인의 의견을 개진하고 활발하게
소통하는 것이 더 나은 사내 문화 정착의 길로 나아가는
첫 번째 발걸음이라고 믿습니다.
인권 존중
휠라는 2021년 2월 <휠라 그룹 글로벌 인권 선언문
(FILA Group Global Human Rights Policy)>을 수립하고
새로운 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고객만족을 위한 노력
휠라는 당사의 제품을 통해 단순 소비를 넘어 고객의
만족과 행복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합니다.
고객과의 소통 강화
휠라코리아는 제품 및 서비스에 고객접근성을 높이고자
통합 콜센터와 홈페이지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휠라 제품 화학물질 검사 프로세스
소비자 지향적 R&D 활동
당사의 R&D 센터인 패스트 센터(FAST CENTER, FILA Advanced Science & Technology Center)에서는
선수용 스포츠 제품을 비롯해 소비자들에게 폭넓은 스펙트럼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전문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패스트 센터 주요 스포츠 종목별 R&D 현황 및 성과
테니스
기존 테니스화 모델 ‘AXILUS 2 ENERGIZED’ 대비 무게 10g 감소, 쿠셔닝 20% 향상, 에너지 반환 8% 향상된 테니스화 ‘SPEEDSERVE’ 출시
한국체육대학교와 협업하여 헤링본(지그재그) 트레드 밑창 패턴 연구(운동화 착화 후 질주, 정지 또는 방향 변경 시 코트 접지력 향상) 진행
러닝
‘에너자이즈드 러쉬 폼(Energized Rush Foam)’ 을 적용해 안정감과 반발력 밸런스를 강화한 러닝화 뉴런(Neuron) 3, 5, 7 출시
미드풋 러닝 스타일형 제품 카본 플레이트
굴곡각도 효과성 연구
(Midfoot Running Innovaiton Project)
사이클
카본파이버 소재 아웃솔, 고정형 클릿(cleat) 마운트 및 갑피 통기 시스템을 적용한 사이클화 시냅스(SYNAPSE) 5, 7, 9 제품 출시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별 신체구조에 맞춘 사이클화 커스텀 서비스 제공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CSR 전략 수립
휠라는 고품질 제품 및 서비스 생산이라는 기업의 1차적 역할 너머의 더 큰 가치를 함께 바라봅니다. ‘티셔츠 한 장 생산에 발생하는 폐수 970리터’, 패션 산업이 석유 산업에 버금가는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에 깊은 책임을 느낍니다. 따라서 2021년 휠라는 CSR 활동의 주요 테마를 <물, 다양성, 어린이> 로 선정하고, 관련 활동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자 합니다.
물
다양성
어린이
공급망 지속가능성 강화
휠라는 원자재 조달에서부터 제품 생산에 이르는 모든 공정에서
환경ㆍ사회적 영향을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협력사 대상 휠라
그룹 글로벌 행동강령
[휠라 그룹 글로벌 행동강령]
다운로드 →
협력사 선정ㆍ관리 프로세스
휠라는 당사와 함께 성장할 신규 협력사를 선정함에 있어 자체 체크리스트로 평가를 진행합니다.
신규 협력사 선정 프로세스
1
협력업체
서류 준비 및 심사
1) 준비 서류
2) 서류 심사 기준
2
현장 실사
1) 공장 현장 실사
2) 공장 심사 기준
3
신규 업체 등록
1) 신규 업체 등록 절차
2) 추가 준비 서류
4
신규 업체 운영
1) 시험 운영 후 평가 시행
2) 정상 운영
협력사 ESG 평가
휠라는 모든 협력사에게서 휠라 그룹 글로벌 행동강령을 준수한다는 서약서를 받고 있으며,
이와 함께 모든 1차 협력사에 대해 매년 실사를 통한 협력사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핵심 협력사 평가 결과
협력사명 | 신발 | 의류 및 용품 | |||||||||
모니터링 항목* | DA | GR | GS | HT | JM | XSC | JD | NS | WH | ||
법률 및 규정 준수 | |||||||||||
강제노동 | |||||||||||
아동노동 | |||||||||||
산업안전보건 | |||||||||||
기회의 평등 | |||||||||||
결사의 자유 | |||||||||||
징계 처분 | |||||||||||
근로자 보험 | |||||||||||
환경 | |||||||||||
보안 | |||||||||||
문서화 및 보고 | |||||||||||
평점 | 89.2 | 95.6 | 88.3 | 88.4 | 82.5 | 73.2 | 91.5 | 89.1 | 89.9 | ||
등급** | SILVER | GOLD | SILVER | SILVER | BRONZE | - | GOLD | BRONZE | GOLD |
*모니터링 항목 평가 기준: 90점 이상70점 이상-90점 미만70점 미만
**등급 평가 기준: GOLD(90점 이상) SILVER(85.1-89.9점) BRONZE(80.1-85점)
ESG 임팩트 기반의 책임 있는 의사결정 추진
윤리경영체계
윤리제보 처리 절차
휠라는 당사의 신뢰와 윤리성을 저해하는 비리 및 부당행위에 대해 홈페이지, 이메일, 전화, 우편 등
각종 채널을 통해 연중무휴의 익명 신고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정보보안
당사는 지난 2021년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으로부터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ISMS)을 획득하였습니다.
ISMS 취득
정보침해 발생 현황
스포츠 시장 내 휠라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휠라 대표(core) 스포츠 종목 육성을 통해
차별화된 브랜드 정체성 확립
Core Sports
테니스
수상스포츠
아웃도어
트레이닝
중장기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지속가능한 스포츠 브랜드로서의 성장 도모
Non-Core Sports
모터스포츠
동계스포츠
러닝
축구
휠라홀딩스는 이해관계자들에게 재무 및 비재무 성과를 보다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2022년에 두번째 통합보고서이자 세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